암울했던 역사의 아픔을 간직한 서대문형무소
외출/서울 도시의 풍경 2009. 6. 2. 07:20 |독립문역에 위치한 서대문형무소를 다녀왔습니다. 독립문역 5번 출구를 빠져나와 나무숲을 오르면 형무소 정문이 나옵니다. 빛바랜 붉은벽돌은 과거 참담했던 우리의 역사를 대변해주고 있는 듯합니다.지금 이곳에는 복원공사가 한창입니다.취사장 원형 복원을 위해 취사장 부지에 대한 발굴조사가 이루어지고 있습니다.
서대문형무소는 일본이 우리나라에 대한 침략을 본격화하기 위해 1907년 인왕산에 일본인이 설계한 근대적인 감옥입니다.약 500여 명을 수용할 수 있는 560여 평의 목조건물을 짓고 경성감옥이라 불렀습니다. 종로의 감옥에서 500여 명을 데려와 수용하고 광복을 맞이하는 1945년까지 독립운동가들을 가두고 고문과 박해를 하고 심지어 목숨을 빼앗은 곳이기도합니다.
애국인사들이 늘어나자 1912년 일제는 마포구 공덕동에 감옥을 또 지었으며 이곳을 경성감옥이라 하고, 원래의 경성감옥은 서대문감옥이라 불렀습니다. 1923년 서대문감옥은 서대문형무소로 바뀌었고 1944년에는 2,890명이 수용하게됩니다. 18세 미만의 소녀들과 10년 이상을 선고받은 자, 그리고 무기수까지 수용하였으며, 유관순 열사도 이 곳에서 목숨을 다하신 우리역사의 아픔을 간직한 곳입니다.
1946년 광복 직후에는 경성형무소·서울형무소로 바뀌고, 반민족행위자와 친일세력들이 수용하게 됩니다. 1961년에는 서울교도소로, 1967년에는 서울구치소로 바뀌었고, 4·19혁명과 5·16군사쿠데타와 같은 정치적 변동으로 인해 많은 시국사범들이 수감되었으며 1987년 경기도 의왕시로 옮겨졌고, 88년에 사적지로 지정되게 됩니다.
정문을 들어서면 역사관이 들어오고 왼편에 여성옥사인 지하감옥이 나옵니다. 이곳은 일제가 1916년 항일투쟁을 하던 여성만을 수감하기 위해 지은 옥사입니다.지하에는 애국지사들을 격리수용하기 위한 독감방을 설치하여 신문과 고문의 장소로 사용하게 됩니다. 1934년 옥사를 고쳐지으면서 지하감옥을 매립하였으나 1992년 독립공원을 조성할때에 복원되었읍니다. 특히 이곳은 유관순 열사가 일제의 탄합에 항거하다 순국하신 곳으로 일명 유관순굴이라고도 합니다.
1987년 경기도 의왕시로 옮길 때 옥사는 모두 15개동이였으나 현재는 역사성과 보존가치를 고려해 옥사7개동과 사형장 보안과 청사등을 보존하고 있습니다.아래 사진의 제10.11.12옥사는 서적 제 324호로 지정되었습니다.
옥사내부 사진입니다. 창살사이로 햇살이 비치고 있습니다.
옥사안에서 보이는 모습입니다. 그분들은 이곳에서 무슨 생각들을 하셨을까요? 나라를 잃은 설음과 나라가 자유를 찾는 미래을 꿈꾸었을 것입니다.
옥사를 나와 걷다보면 옥사와 나병환자를 따로 수용하던 나병사 건물사이에 추모비가 있습니다. 잠깐 묵념의 시간을 가졌습니다.
나병사에서 본 형무소 전경입니다.
나병사를 나오면 사형장이 나옵니다. 사형장 입구에는 미루나무 한그루가 서 있는데요.1923년 사형장 건립당시 식재되어 사형장으로 끌려가는 순국선열들이 조국의 독립을 이루지 못하고 생을 마감해야 하는 한을 눈물로써 토해낼때 붙들고 통곡했던 것으로 통곡의 미루나무라고 이름 지어졌습니다. 또한 사형장 안에 또 하나의 미루나무가 있는데 같은 시기에 심어졌으나 순국선열들의 한이 서려 잘 자라지 않았다는 일화가 전해지고 있습니다.
사형장내에서는 사진촬영이 금지되어 있습니다.
무거운 가슴을 안고 형무소를 나왔습니다. 그리고는 한참을 형무소 앞에서 주저앉아 있었습니다. 잠시 뒤 토요일이라 중학생들이 현장학습을 나왔나봅니다. 주위가 소란스러워 자리를 떴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