심우장을 오르기 전 이태준고택에 잠시 들렀습니다. 입구에 들어서면 만나게 되는 아담한 정원이 인상적인 곳이였습니다. 봄 햇살을 비치는 정원은 누구라도 쉬어가고픈 마음을 가지게 하는 곳이였습니다. 이곳에선 한 잔의 물에도 고택에서 풍기는 세월의 향이 더해져 은은한 향을 발할것 같더군요.
상허 이태준고택은 월북 작가 이태준이 1933년에 지어 '수연산방(壽硯山房)'이란 당호를 짓고, 1933년부터 1946년까지 거주하면서 단편 <달밤>, <돌다리>, 중편 <코스모스피는 정원>, 장편 <황진이>, <왕자호동> 등 문학작품 집필에 전념한 곳이었다.
이태준은 강원도 철원 출생으로 1921년 휘문고보를 나왔으며, 1927년 11월 일본 조치대학을 중퇴하고 귀국하여 1925년 시대일보에 오몽녀를 발표하면서 문단에 등단하였다. 1933년 박태윤ㆍ이효석 등과 함께 구인회를 조직하고 계속 작품을 발표하였다. 우리나라 단편소설의 선구자이며, 1946년 6월경 월북하였다가 1953년 임화ㆍ김남천 등과 함께 숙청 당한 것으로 알려져 있다.
이 가옥은 성북동 이태현가옥으로 지정되었던 것을, 대한민국 정부가 이태준을 포함한 납·월북 작가들을 1988년 해금 조치함에 따라, 이태준 후손들의 명칭 변경 요구에 의해 1998년 7월 10일 지금의 명칭으로 변경되었다. 성북동길을 따라가다가 성북2동사무소를 끼고 오른쪽으로 들어가면서 주차장 바로 오른쪽에 있다.
당시 서울 교외에 세워진 규모가 작은 별장형의 가옥으로, 앞에 작은 내를 두고 뒤에 동산을 낀 터에 서남향으로 자리잡았다. 막돌로 쌓은 화장담에 세운 일각대문을 들어서면 건물은 대지의 동북쪽에 있다. 서남쪽으로는 우리나라 농촌의 정경을 느낄 수 있는 정원이 가꾸어져 있고, 감나무·사철나무가 있다. 원래 이 가옥 서남쪽에 행랑채 상심루가 있었으나 1950년 한국전쟁 때 없어지고, 지금은 그 자리에 전통찻집 '수연산방'이 들어서 있다.
이 가옥은 별장형 주택의 작은 집이면서도 모든 것이 알차고 아름답게 꾸며져 있다. 일각대문과 우물가 정원이 집터 주위의 수목과 잘 어울리고, 지붕과 처마, 미닫이문 창살도 한옥의 예스러운 멋을 간직하고 있다. 특히 사랑채 없이 사랑방의 기능을 가진 실인 누마루를 안채에 집약시켜 합리적이고 기능적인 평면을 해결한 점, 안채에 필요한 실을 뒤로 확장시켜 '工'자형에 가까운 평면으로 구성한 점, 부엌을 안방 뒤로 위치시킨 점, 화장실을 안채에 부속시킨 점 등에서 조선 말기를 지나면서 전통한옥이 변화하는 모습을 보여주는 점에서 주목받는다. -서울 문화제 홈페이지 자료 인용-
대문을 들어서면 아담한 정원이 있습니다. 사철나무 그늘은 한여름의 햇살을 피하기 좋을듯합니다.